본문 바로가기
세계지리

북극 번개비, 현상과 원인 이유 깔끔 정리

by 고산자세상만사
반응형

북극에서 관측 역사상 가장 긴 55분간 뇌우(雷雨)가 기록됐습니다. 해빙이 사라지고, 기온이 올라가면서 북극에서까지 장시간 동안 뇌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북극-번개비-현상
북극 번개비

 

해빙 감소 온난화 영향으로 뇌우 빈발

 

러시아 북극남극연구소(AARI)는 지난해 7월 북극에서 뇌우가 55분간 지속된 사례를 관측했다고 밝혔습니다. 뇌우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인데, 대기가 차고 건조한 극지방에서는 매우 드문 기상 현상입니다. AARI2019년 뇌우를 처음 관측한 이래 그해 각각 40, 25분간 뇌우를 관측한 바 있다고 했습니다.

 

반응형

 

뇌우는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공기가 높은 고도로 상승하면서 발생하는데, 응축된 수증기가 적란운을 형성하면 천둥, 번개와 함께 비교적 좁은 지역에 강한 비가 내리게 됩니다. 지속시간은 수 분에서 수 시간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보통 30여 분 진행합니다. 뇌우가 형성되려면 온난하고 습윤한 공기가 필요한데 북극에는 둘 다 흔치 않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북극곰과-번개-이미지
북극곰과 번개 이미지

번개도 자주 관측

 

 

번개도 자주 관측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북극점을 기준으로 690마일(1110) 범위에서 번개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범위에서 2021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번개는 앞선 9년 동안 발생한 번개를 합친 규모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북극은 지구 전체와 비교했을 때 평균기온 상승 속도가 34배에 이릅니다. 전문가들은 여기에 북극을 포함해 전 세계의 대기 내 수증기도 약 4% 증가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런 온난화와 습도 증가가 뇌우 형성의 핵심 요소가 된 것입니다.

 

북극-번개-현상
북극 번개 현상

 

온난화로 인한 해빙 감소도 원인

 

전문가들은 또 온난화로 인한 해빙 감소도 뇌우 증가의 한 요인으로 작용이라고 분석하며 얼음이 녹을수록 해수면이 올라가고, 흰 눈이 녹으면서 태양 복사열을 반사하지 못하면 극지방의 열 흡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블랙핑크 제니와 샤넬(CHANEL)의 황홀한 만남

 

블랙핑크 제니와 샤넬(CHANEL)의 황홀한 만남

제니(JENNIE)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걸그룹 중 하나인 블랙핑크(BLACKPINK)의 멤버로 활동하며 글로벌 팬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니는 패션 감각으로도 유명하며, 협찬 명품 브랜드와의 광고 모

gosanjaculture.tistory.com

 

꿀벌의 실종, 올해도 계속될까? 원인 정밀 분석

 

꿀벌의 실종, 올해도 계속될까? 원인 정밀 분석

2023년에 들어서도 꿀벌이 위태롭습니다. 십여 년 전에도 사라진 적이 있었는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꿀벌들이 사라지거나 집단폐사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원인은 우선, 평년보다 따뜻한

gosanjaculture.tistory.com

 

 

핵전쟁 지구 종말에도 안전한 나라 ... 1위 차지한 나라는? 우리나라는?

 

핵전쟁 지구 종말에도 안전한 나라 ... 1위 차지한 나라는? 우리나라는?

인류의 최후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핵전쟁이 인류 멸망의 가장 큰 원인이 될 것이라는 진단은 이제 상식입니다. 그렇다면 지구에서 핵전쟁이 터졌을 때 견녀낼 나라는 어디일까요. 핵전쟁 지구

gosanjacultur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