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통선 이북지역 생태계 조사결과(2015~2020년)
1. 멸종위기종 44종을 포함한 4,315종의 생물종 서식 확인
2. 국토 면적의 1.13%를 차지하나 우리나라 전체 생물종의 16.1% 분포
3. 멸종위기종 두루미·재두루미·사향노루·버들가지 민북지역에서만 서식 확인
환경부는 민간인 통제선 이북지역(이하 민북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민북지역에서 실시한 ‘생태계 조사’ 결과를 공개.
* 민통선으로부터 비무장지대(DMZ) 남방한계선까지의 지역(1,133㎢)
○ 이번 조사는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에서 주관했으며, 민북지역을 동부해안 등 5개 권역, 39개 조사경로로 구분하고, 매년 1개 권역을 대상으로 지형, 식생, 동·식물 등 10개 분야를 계절별로 조사해 분석했다.
* 5개 권역 :
동부해안(‘15, 인제/고성), 동부산악(‘16, 양구), 서부평야(‘17, 철원/연천), 중부산악(’18, 철원/화천), 서부임진강하구(‘19-’20, 파주/연천)
** 39개 조사경로 :
군작전로 등 군부대 협조를 통해 안전이 확보된 조사경로(20km 이내) 설정
*** 10개 분야 :
지형․식생․식물․포유류․조류․양서파충류․육상곤충․어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거미
○ 민북지역의 특성상 담당 연구진의 안전이 확보된 경로를 중심으로 조사가 이뤄졌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민북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44종을 포함해 총 4,315종으로 확인됐다.
○ 분류군별 확인된 종(멸종위기종 수)은 식물 1,126종(2), 포유류 24종(6), 조류 145종(17), 양서·파충류 29종(5), 육상곤충 2,283종(4), 어류 81종(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334종(4), 거미 293종(0)이며, 양서·파충류의 경우 국내 서식하는 54종 중 29종*(53.7%)이, 어류는 213종 중 81종** (38%)이 이번 민북지역 조사에서 관찰됐다.
* 구렁이, 금개구리, 남생이, 맹꽁이, 표범장지뱀 등
** 가는돌고기, 꾸구리, 다묵장어, 돌상어, 버들가지, 한둑중개 등
○ 민북지역(1,133㎢)은 국토면적(100,413㎢)의 1.13%를 차지하나 생물종 분포는 우리나라 전체 생물종(26,814종)의 16.1%를 차지했으며, 1㎢ 면적 당 생물종의 수*를 비교한 결과 보호지역인 국립공원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민북지역) 서부임진강하구(11.6), 서부평야(13.7), 중부산악(6.7), 동부산악(5.2), 동부해안(6.1), (국립공원) 설악(5.0), 속리산(5.5), 지리산(6.4), 덕유산(8.8), 오대산(7.4), 월악산(10.1)
□ 멸종위기 야생생물 44종 중 두루미 및 재두루미, 사향노루, 버들가지는 각종 조사 결과를 확인한 결과, 현재 민북지역에서만 서식하거나 또는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루미 및 재두루미) 전국에 국지적으로 분포했으나 현재는 민북지역(철원·연천·파주)에서 대부분(98%이상) 월동
(사향노루) ‘90년대까지 지리산, 대암산 등에 서식, 현재는 양구, 화천 일대 등 민북지역에만 서식
(버들가지) 고성군 고진동, 오소동 및 동해안 독립하천 등 민북지역에서만 서식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두루미와 Ⅱ급인 재두루미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전 세계 생존개체수의 약 50%*가 철원평야를 중심으로 연천, 파주를 월동지로 이용하고 있다. 이 지역은 먹이자원이 풍부한 농경지와 휴식지로 활용 가능한 하천, 저수지가 넓게 분포하여 최적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두루미) 전 세계 2,800∼3,300여 개체 중 1,600여 개체, (재두루미) 6,200∼6,500여 개체 중 5,700여 개체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산양과 사향노루는 강원도 화천, 양구, 고성의 산악 암반지대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야간에 산등성이에서 내려와 먹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버들가지는 우리나라 최북단인 고성군 남강 상류, 지경천 등 제한된 하천 또는 산간 계곡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냉수성 물고기로 서식 범위가 매우 좁은 것으로 확인됐다.
□ 5개 권역의 생물종을 비교한 결과, 파주·철원·연천 등의 서부지역이 양구·인제·고성 등의 동부지역보다 생물종다양성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서부평야(철원·연천) 2,409종, 중부산악(철원·화천) 2,066종, 서부임진강하구(파주·연천) 1,843종, 동부해안(인제·고성) 1,401종, 동부산악(양구) 1,350종 순으로 생물종이 다양했으며, 이는 서부지역이 산림, 하천 및 농경지 등 다양한 서식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평가됐다.
□ 5개 권역의 39개 조사경로를 대상으로 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을 평가*한 결과 철원 토교, 화천 고둔골 경로 등 12개 경로**가 ’우수‘ 점수를 받아 상대적으로 보호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 지형·식생·종다양성·멸종위기종·한반도고유종·서식지다양성·서식지분포·인간간섭 등 15개 지표를 활용하여 ’우수(보호가치 높음)‘, ‘양호(보호 고려)’, ‘미흡(보호가치 낮음)’으로 평가
** 고둔골(화천), 토교(철원), 큰까치봉·오소동(고성), 지경천(고성), 두현리(연천), 동파리(파주), 빙애(연천), 성제산(철원), 이길리(철원), 비운이(화천), 덕현골(연천), 북삼리(연천)
○ 철원의 토교 경로는 두루미·흰꼬리수리·새호리기·벌매 등 다수의 멸종위기종 조류가 서식하고 생물종다양성이 풍부(1,202종)하며, 화천의 고둔골 경로는 지형·멸종위기종 등 11개 지표에서 ‘상’으로 평가되고, 사향노루와 산양이 서식하여 보호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 아울러 12개 생태계 우수 경로 중 화천 고둔골 등 6개 경로*는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등으로 향후 개발 가능성이 높아 생태계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 고둔골(화천), 토교(철원), 지경천(고성), 두현리(연천), 빙애(연천), 성제산(철원)
- 화천의 고둔골 경로는 사향노루와 산양의 서식지이나 백암산 일대 케이블카 등 인위적 교란이 증가하고 있으며, 철원의 토교 경로는 두루미의 핵심 서식지 보호 등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성의 지경천 경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버들가지, 한둑중개, 물장군의 서식이 하천교란으로 위협을 받고 있으며, 연천의 두현리 경로는 하상교란으로 인한 모래하천(사미천)의 훼손 가능성이 제기됐다.
- 연천의 빙애 경로는 다양한 하천지형(사력퇴적지, 여울, 소)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가는돌고기, 꾸구리, 돌상어 등을 위해 인근 군남댐의 효율적인 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철원의 성제산 경로는 이 지역 전술도로의 절개사면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분홍장구채(멸종Ⅱ급) 집단서식지가 훼손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 환경부 자연보전국 계획 :
- 민북지역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생태계 조사가 처음으로 이루어진 만큼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관계부처, 지자체, 전문가 등과 협력하여 민북지역에 대한 생태계 보전대책을 마련
- 제2차 비무장지대(DMZ) 및 민북지역 생태계 조사(2021〜2026년)도 차질없이 추진
민통선 이북지역 생태계 조사결과 요약
□ (목적)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의 지형, 식생, 동·식물상 등 생태현황을 조사하여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 민간인 통제선으로부터 DMZ 남방한계선까지의 지역. 분단 이후 60년 이상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면서 다양한 멸종위기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
□ (근거) 자연환경보전법 제30조* 및 접경지원특별법 제7조**
*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5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
** 환경부장관은 접경지역(비무장지대 포함)의 무분별한 개발 방지 및 자연환경의 체계적 보전을 위해 기초조사 실시 및 보전대책 수립ㆍ시행
□ (조사기간/기관) ‘15년∼’20년(6년) / 국립생태원
□ (조사지역 구분) 민통선 이북지역을 5개 권역으로 구분, 연차별로 1권역씩 조사(조사면적 1,133㎢)
○ 동부해안(‘15, 인제/고성), 동부산악(‘16, 양구), 서부평야(‘17, 철원/연천), 중부산악(’18, 철원/화천), 서부임진강하구(‘19-’20, 파주/연천) 등 5개 권역의 39개 경로* 조사
* (조사경로) 군작전로 등 군부대 협조를 통해 안전이 확보된 조사경로(20km 이내)를 설정

□ (조사내용·방법) 지형, 식생 및 동·식물 등 10개 분야에 대해 계절별 조사
* (지형·식생) 군작전로를 따라 이동하며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조사
* (동식물 생물상) 군작전로 등 접근이 가능한 경로를 이동하면서 직접조사 수행
2. 주요 조사결과
① 전체 생물상
번호 | 분야 | 우리나라 | 5개 조사권역 | 비율(%) | |||
전체생물종수1) | 멸종위기 종수 |
전체 생물종수 | 멸종위기종수 | 전체 생물 종수비율 |
멸종위기종수비율 | ||
1 | 식 물 상` | 4,596 | 88 | 1,126 | 2 | 24.5 | 2.3 |
2 | 포 유 류 | 89 | 20 | 24 | 6 | 27.0 | 30.0 |
3 | 조 류 | 545 | 63 | 145 | 17 | 26.6 | 27.0 |
4 | 양서·파충류 | 54 | 8 | 29 | 5 | 53.7 | 62.5 |
5 | 육 상 곤 충 | 19,249 | 26 | 2,283 | 4 | 11.9 | 15.4 |
6 | 어 류 | 2132) | 27 | 81 | 8 | 38.0 | 29.6 |
7 |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 |
1,1723) | 31 | 334 | 4 | 28.5 | 12.9 |
8 | 거 미 | 896 | 1 | 293 | 0 | 32.7 | 0 |
합 계 | 26,814 | 2644) | 4,315 | 445) | 16.1 | 16.7 | |
면 적(㎢) | 100,4136) | 1,133 | 1.13 |
1) 국립생물자원관의 2020년 국가생물종목록(2021.2) 기준, 본 조사 분류군에 해당되는 종수만 작성
2) 한국의 민물고기(김익수·박종영, 2007)의 어류 목록(해양어류 제외)을 기준으로 작성
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있지 않아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의 기준을 따라 작성
4) 아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별표1) 목록을 기준으로 본 조사 분류군에 해당되지 않는 해조류(2종), 고등균류(1종)를 제외하여 총 264종으로 표기
5) 멸종위기종인 물방개와 물장군은 곤충분야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중복으로 합계에서 제외
6)우리나라 국토면적은 통계청(KOSIS, 2021) 국토이용현황 자료 기준으로 작성
《 참고 : 국립공원(보호지역)과의 생물종 수 비교 》
구 분 | 출현 생물종수 |
멸종위기 종수 |
면적(㎢)* | 면적대비 출현 생물종수(종/㎢)* |
|
국 립 공 원 |
설악산국립공원(2010) | 1,991 | 31 | 398.2 | 5.0 |
속리산국립공원(2011) | 1,515 | 21 | 274.7 | 5.5 | |
지리산국립공원(2011) | 3,085 | 16 | 483.0 | 6.4 | |
덕유산국립공원(2012) | 2,013 | 11 | 229.4 | 8.8 | |
오대산국립공원(2013) | 2,398 | 21 | 326.3 | 7.4 | |
월악산국립공원(2015) | 2,902 | 16 | 287.5 | 10.1 | |
민 통 선 이 북 지 역 |
서부임진강하구권역(2019) | 1,843 | 30 | 158.4 | 11.6 |
서부평야권역(2017) | 2,409 | 28 | 175.4 | 13.7 | |
중부산악권역(2018) | 2,066 | 20 | 310.2 | 6.7 | |
동부산악권역(2016) | 1,350 | 13 | 260.1 | 5.2 | |
동부해안권역(2015) | 1,401 | 18 | 229.3 | 6.1 | |
전 체 | 4,315 | 44 | 1,133.3 | 3.8 | |
(국립공원) 2010-2018년 3기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보고서 기준으로 작성 (민통선이북지역) 미확인지뢰지대 및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제한적인 범위 내 조사 수행 |
② 서식이 확인된 멸종위기야생생물종
분야 | 국명 | 멸종위기 등급 |
식물상(2) | 분홍장구채 | Ⅱ |
복주머니란 | Ⅱ | |
포유류 (6) |
산양 | Ⅰ |
사향노루 | Ⅰ | |
수달 | Ⅰ | |
작은관코박쥐 | Ⅰ | |
담비 | Ⅱ | |
삵 | Ⅱ | |
조 류 (17) |
검독수리 | Ⅰ |
두루미 | Ⅰ | |
흰꼬리수리 | Ⅰ | |
독수리 | Ⅱ | |
벌매 | Ⅱ | |
붉은배새매 | Ⅱ | |
새매 | Ⅱ | |
새호리기 | Ⅱ | |
수리부엉이 | Ⅱ | |
알락개구리매 | Ⅱ | |
재두루미 | Ⅱ | |
잿빛개구리매 | Ⅱ | |
조롱이 | Ⅱ | |
참매 | Ⅱ | |
큰고니 | Ⅱ | |
큰기러기 | Ⅱ | |
흰목물떼새 | Ⅱ | |
양 서·파충류 (5) |
구렁이 | Ⅱ |
금개구리 | Ⅱ | |
남생이 | Ⅱ | |
맹꽁이 | Ⅱ | |
표범장지뱀 | Ⅱ | |
육상곤충 (4) |
물장군 | Ⅱ |
애기뿔소똥구리 | Ⅱ | |
왕은점표범나비 | Ⅱ | |
물방개 | Ⅱ | |
어 류 (8) |
가는돌고기 | Ⅱ |
꾸구리 | Ⅱ | |
다묵장어 | Ⅱ | |
돌상어 | Ⅱ | |
묵납자루 | Ⅱ | |
버들가지 | Ⅱ | |
열목어 | Ⅱ | |
한둑중개 | Ⅱ |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 |
노란잔산잠자리 | Ⅱ |
대모잠자리 | Ⅱ | |
물방개 | Ⅱ | |
물장군 | Ⅱ |
《 참고 : 민통선 이북지역 생태계 조사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 사진 》

③ 생태계가 우수하여 보호가치가 높은 12개 조사경로 지역
권역명 | 조사경로명 | 생태계 특징 |
중부산악 | 고둔골 경로† (화천군 화천읍) (5.83㎞) |
-백암산에서 발원하는 소하천 계곡 분포 -지형·멸종위기종 등 11개 지표에서 ‘상’으로 평가 -사향노루·산양 서식, 고유종(18종) 확인 |
서부평야 | 토교 경로† (철원군 동송읍) (9.89㎞) |
-두루미(멸종Ⅰ급) 최대 월동지 -흰꼬리수리·새호리기·벌매·독수리 등 멸종위기조류 서식 -고유종(21종) 및 생물종(1,202종) 확인 |
동부해안 | 큰까치봉·오소동 경로 (고성군 거진읍, 현내면, 수동면) (17.22㎞) |
-건봉산 주능선을 따라 계곡을 포함하는 경로 -고진동계곡·지경천의 독립하천에 서식하는 버들가지(멸종 Ⅱ급) 집단 서식 -큰까치봉 인근 산림지역에서 다양한 고유종(32종) 확인 |
동부해안 | 지경천 경로† (고성군 현내면) (6.78㎞) |
-지경천 상류 계곡부에 오리나무 군락 분포 -고유종·희귀성 등 10개 평가지표에서 ‘상’으로 평가 -고성 남강 일대에 버들가지(멸종 Ⅱ급) 서식 -벌매·참매·새호리기 등 다양한 멸종위기 조류 서식 |
서부임진강하구 | 두현리 경로† (연천군 백학면) (8.27㎞) |
-북한으로부터 남류하는 자연형 하천인 사미천 분포 -지형·멸종위기종·고유종 등 10개 평가지표에서 ‘상’ 등급 평가 -보전가치가 높은 자연(모래) 하천인 사미천 내 다양한 멸종위기종(두루미,남생이,돌상어,노란잔산잠자리약충)의 서식 |
서부임진강하구 | 동파리 경로 (파주시 진동면) (3.81㎞) |
- 저산성 구릉지대로 임진강변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 -지형·식생피복·멸종위기종 10개 평가지표에서 ‘상’ 등급 평가 -임진강변에 보전가치가 높은 사력퇴적지(Ⅰ등급) 관찰 -흰꼬리수리·새호리기·독수리·재두루미 등 멸종위기종 관찰 |
서부평야 | 빙애 경로† (연천군 중면) (6.52㎞) |
-임진강 상류 다양한 지형(하천습지, 여울, 소)이 분포 -지형·멸종위기종·고유종 9개 평가지표에서 상 등급 평가 -두루미·재두루미·검독수리·독수리 등 다양한 멸종위기 조류 관찰 -다수의 고유종(28종) 확인 |
중부산악 | 성제산 경로† (철원군 김화읍, 근북면) (16.45㎞) |
-성제산 일대와 김화 남대천 상류의 용양보 습지를 포함한 경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형(하천습지, 호소성습지, 애추, 판상절리 등) 분포 -묵납자루·가는돌고기·두루미·재두루미·분홍장구채 서식 -다수의 고유종(26종) 확인 |
서부평야 | 이길리 경로 (철원군 김화읍, 갈말읍) (5.83㎞) |
-하천지형과 평야지형이 분포하는 지역 -지형·식생피복·멸종위기종·고유종 등 9개 평가지표에서 상 등급 평가 -마사토가 발달한 산림에서 표범장지뱀(멸종Ⅱ급) 확인 |
중부산악 | 비운이 경로 (화천군 화천읍) (5.21㎞) |
-북한강 상류 계곡부에 다양한 지형(습지, 하식애, 포인트바 등) 분포 -수달·삵·담비 등 멸종위기종 확인 |
서부평야 | 덕현골 경로 (연천군 신서면, 중면) (8.23㎞) |
-야월산 일대 골짜기를 포함하며 묵논습지, 폐경작지의 초지, 하천으로 구성 -두루미·재두루미(멸종위기종)의 중요 서식지 -생물종다양성 우수(1,035종) |
서부임진강하구 | 북삼리 경로 (연천군 왕징면) (9.67㎞) |
-연천군 일대 저산성 산지로 묵논화된 휴경지가 일부 분포 -기후변화지표종(12종), 고유종(16종), 멸종위기조류(두루미· 큰기러기·독수리·재두루미 등) 서식 확인 |
《 생태계가 우수하여 보호가치가 높은 12개 조사경로 》

《 참고 : 보호가치가 높은 경로(지역)의 전경사진 》

○ (멸종위기종)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 있어 가까운 장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
-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을 Ⅰ급과 Ⅱ급으로 나누어 환경부에서 267종*을 지정·보호하고 있음
* 본 조사 분류군에 해당되지 않는 해조류(2종), 고등균류(1종)을 제외하여 총 264종으로 표시
○ (한반도 고유종) 한반도에만 국한되어 자연적으로 분포·서식하는 생물종을 의미하며, 특정 지역 내에서만 분포하는 일부 생물종은 개체군의 크기와 분포 범위가 작아 환경 변화에 취약해 관리가 필요
*** 참조 : 2021년 6월 17일 환경부 보도자료
'한국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문화제, 백제의 옛 도읍지 공주 부여 역사 여행 (0) | 2022.09.07 |
---|---|
속초 별미 여행, 활어회, 함흥냉면, 생선구이, 순두부, 아바이순대, 오징어순대 (1) | 2022.09.01 |
설악산 명승, 대승폭포, 십이선녀탕, 수렴동, 구곡담, 용아장성, 공룡능선, 만경대 (0) | 2022.09.01 |
전라남도 대표 관광지 (0) | 2022.08.15 |
중국의 7대 수계 _ 동북아의 송화강, 랴오허강 수계 (0) | 2022.05.24 |
댓글